주변인의 뜻과 개념 설명

주변인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주변인(Marginal Man)은 2개 이상의 사회집단 또는 문화에 속하지만 경계에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에도 속하지 못하는 사람을 뜻해요. 미국인인데 백인과 흑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라던지, 동양인인데 미국에서 동양계 2세라던지, 유럽의 유태인이나 이민으로 인해서 다른 나라에 사는 사람들이 주변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가치 기준, 행동 양식, 언어, 교육이 서로 다른 문화였기 때문에 경계선에 설 수 밖에 없습니다.
심한 심적인 내적 갈등이나 정서적인 불안정을 겪고 있는 주변인들도 있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열등감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지요. 하지만 서로 다른 생활 양식과 문화 속에서 퓨전 등을 통해서 더 긍정적인 발전을 이루어 낼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변인의 뜻과 개념에 대해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콘텐츠를 함께 확인해주세요.
주변인 뜻, 2개 이상의 집단에 속해 있지만 경계에 위치 - 큰별님의 부자 라이프
주변인 뜻과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www.ktpwealthylife.com

주변인 뜻에 대한 추가 설명
주변인(marginal man)이라는 개념은 20세기 초 사회학자 로버트 E. 박(Robert E. Park)에 의해 발전되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문화 또는 사회 집단의 변두리 또는 주변부로 간주되는 사회적 위치에 있는 개인 또는 개인 그룹을 말합니다. 변두리 인간은 서로 다른 세계 사이를 항해하면서 문화적, 심리적, 사회적 긴장 상태에 존재합니다.
"주변"이라는 용어는 개인이 연결된 문화 중 하나에 완전히 통합되기보다는 사회의 변두리 또는 변두리에 있는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변인은 새로운 나라로 이주한 사람, 더 큰 사회의 소수자 집단에 속하는 사람 또는 다른 상황에 걸쳐 있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주변인은 그들이 거주하는 다른 문화의 가치, 규범 및 기대 사이를 탐색하면서 변위와 갈등을 경험합니다. 그들은 종종 두 문화 내에서 소속감, 정체성 및 수용을 확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주변인은 소외감, 모호함,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어느 문화에도 완전히 들어맞지 않거나 어느 집단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박씨는 주변인이 서로 다른 문화 사이의 간극을 이해하고 다리를 놓을 수 있는 독특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중개자 또는 문화 중개자 역할을 하여 서로 다른 사회 집단 간의 의사 소통과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계인은 두 문화 사이를 탐색하고 협상할 수 있지만 양쪽의 저항과 거부에 직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역할은 도전적이고 보람 있을 수 있습니다. 주변인의 개념은 문화적 혼종성, 이중문화주의, '제3의 공간'이라는 개념과 같은 다른 사회학적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두 개 이상의 문화 세계 사이에 갇힌 개인의 복잡성과 투쟁을 강조하여 문화적 접촉, 동화 및 정체성 형성의 역학을 조명합니다. 주변인의 개념은 그동안 비판의 대상이었고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는 그것이 여러 문화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개인의 선택 의지와 탄력성을 간과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개념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소외된 개인의 다양한 경험을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인의 개념은 여러 문화에 걸쳐 있는 개인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가치가 있습니다.
